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돈먹는 공공기관 앱...이용자가 고직...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스마트폰 이용자가 2000만명을 넘어서면서 공공기관들이 경쟁적으로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놓고 있지만 일방적이고 편중되거나 특정인에게만 필요한 정보이다보니 투자비 대비 활용도가 낮아 예산 낭비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에 따르면 제작비용이 1억원을 넘는 공공 앱 중 다운로드 횟수가 2500회에도 미치지 못하는 프로그램이 5개나 됐다.

대한주택보증공사가 보증·사업장·융자현황 등을 조회할 수 있게 개발한 ‘대한주택보증 사이버 영업점 안내’는 1억 8000만원이 들었지만 다운로드 횟수는 지난 2월23일 기준으로 136건에 불과했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이 광명경륜장의 모바일 경주권 발매를 위해 개발한 ‘그린카드’ 앱은 1억 6000만원이 쓰였지만 850명만 사용했다. 행정안전부의 ‘전자관보’ 앱은 1억800만원이 투자됐지만 다운로드 횟수가 1596건으로 저조하다.

교통안전공단이 2억5000만원을 들여 제작한 ‘자동차토털이력정보조회’ 앱은 안드로이드용이 1264건, 아이폰용이 2068건 다운로드에 그쳤다. 또 자동차 등록에 따른 채권을 모바일로 매입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차 채권’의 경우 지난달 2월 기준으로 안드로이드용이 고작 11건, 아이폰용이 117건 다운로드됐다.

정책홍보성 앱은 더 심각하다.

농림수산식품부의 ‘쌤쌤퍼즐’은 10건, 새만금 주변을 설명한 문화체육관광부의 ‘새만금아리올’은 517건, 한국산업인력공단의 ‘2011년 기능한국인’은 205건에 그치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개발된 중앙부처 100개, 지방자치단체 112개의 앱 중 정책홍보성 앱이 30%에 달했다. 스마트폰의 특성인 쌍방향성(실시간 정보 제공)을 고려하지 않아 인터넷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일반적인 정보를 굳이 앱으로 만들어 예산낭비를 했다는 지적이다.

정보공개센터 관계자는 “정부와 공공기관들이 일단 만들고보자는 성과주의에 매몰돼 일방적이고 편중된 정보, 일반적이지 않은 서비스들을 앱으로 만드는 것은 세금 낭비”라고 지적했다. 

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